본문 바로가기
질병

호두까기 증후군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

by 건강하게키우기 2023. 7. 13.

호두까기 증후군은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 사이에서 좌신장정맥이 눌려 그 모양이 호두까기 집게 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질환명입니다.

 

 

이번 블로그에서는 호두까기 증후군의 원인, 증상,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호두까기-증후군
호두까기 증후군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

 

1. 호두까기 증후군이란?

 

호두까기 증후군은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 사이에서 좌신장정맥이 눌려 그 모양이 호두까기 집게 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질환명입니다.

 

이 질환은 혈뇨, 단백뇨, 왼쪽 옆구리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의심됩니다. 병명을 찾기 어려울 때 증후군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 병명의 정확한 진단으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입니다.

 

 

2. 증상

 

혈뇨, 단백뇨, 왼쪽 옆구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서 주로 진단되지만, 전형적이지 않은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.

 

혈류가 잘 순환되지 않으면 골반 쪽으로 돌아 방광 옆으로 가거나, 새로운 길을 만들게 되기도 합니다. 그래서 등허리, 명치 쪽에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또 계속 정맥이 눌리게 되면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줘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지기도 합니다. 신장 기능에 문제가 있지만, 특정 병명이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 증후군일 가능성도 있습니다.

 

3. 치료 방법

 

치료는 눌리는 혈관 자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. 단백뇨나 혈뇨, 왼쪽 옆구리 통증 등 증후군을 의심할만한 증상이 생긴다면 혈관이 덜 눌리게 생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가장 중요한 것은 수면할 때 자세입니다. 똑바로 누워 자면 혈관이 가장 심하게 눌리고, 오른쪽에는 큰 장기 중 하나인 간이 있어 왼쪽으로 누워 자는 것이 좋고, 긴 베개나 이불을 끌어안고 자면 혈관이 안 눌리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자세입니다.

 

 

4. 진단 방법

 

컴퓨터단층촬영(CT)과 도플러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. 흔히 혈류나 옆구리 통증이 있다면 초음파보다도 CT가 더 객관적인 진단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

 

또 증상이 생겨 응급실을 가면 초음파보다 CT를 먼저 하는 경우들이 대부분이지만 생소한 질환이기에 대부분 진단이 잘 안 됩니다.

 

복부 CT로는 혈류까지 확인할 시간이 부족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건 도플러 초음파지만 이건 상당한 경험과 기술이 필요합니다.

 

5. 인식과 교육의 중요성

 

진단이 어려워 ‘진단 방랑자’들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 그래서 병명을 잘 진단해 환자들을 안심시키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.

 

이를 위해 의료진의 교육이 필요하며, 이를 위해 여러 논문을 발표하고, 학교에서 소변 검사를 할 때 혈뇨나 단백뇨가 발견되면 보건 교사가 보호자에게 통보해 주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6. 결론

 

호두까기 증후군은 아직까지 많이 알려지지 않은 질환으로, 그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많습니다. 그러나 이 질환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왜냐하면 이 질환은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환자의 생활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따라서, 이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이를 위해 의료진의 교육과 환자 교육이 필요하며, 이를 통해 이 질환을 더 잘 이해하고,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호두까기 증후군 연구소는 이러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, 환자의 생활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.

댓글